'콘티라이터'가 '스토리보드 작가'라는 의미인가요?
인터넷에서 검색해보니깐, 의미가 다른 것 같아요.
--------------------------------------------[답변내용]--------------------------------------------
콘티와 스토리보드의 오해에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혼용하지만 분야별로 쓰는 형식을 달리합니다.
* 일부 콘티라이터란 개념에 대한 수정
콘티라이터는 스토리보드작가와는 다르게 들리네요. 콘티를 '쓰는(창작)' 사람이라는 의미니 사실상
카피라이터에 가까운 사람을 말하는 것처럼 들리네요....^^
콘티는 글 혹은 그림으로 어떤 순서를 표기하는 것입니다. 어떤 행사의 순서를 정리한 것도
콘티라고 합니다. 행사의 시작, 여는말, 축하공연 .... 뭐 이런 식의 목자를 적어 놓은 것도 콘티
라고 합니다. 당연히 예능이나 시사프로 같은 방송도 이런 식의 글로된 콘티 혹은 방송용어로
큐시트라는 것을 사용합니다. 분야별로 각각의 콘티를 쓰니 콘티라이터...라면 방송과 영상의
글로된 콘티를 쓰는 것도 포함하는게 맞겠죠. 이미지로 옮기기전 시나리오를 제공받는데
이경우 대부분은 컷을 설명하는 글로된 콘티를 받게됩니다. 이걸 컷별 이미지로 그리는
것이 콘티작가가 하는 일입니다. 작가가 글 혹은 그림을 모두 포함한 창작자라는 의미니
쓰는 분야와 의도에 따라 틀리겠죠.
그런의미에서 스토리보드도 순차적인 이야기 혹은 맥락을 보드(판)로 표시한 것이라
인터넷사이트나 게임같은 것의 어떤 경우에 따른 선택에 따라 다음 단계를 표시하는
박스와 다아아몬드형의 순서도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영상물에서 한가지 방향으로
이미지로 표현한 것에 비해 다른 분야에선 다른 형식의 스토리보드를 활용하니 영화나
애니메이션의 시나리오를 이미지로 그리는 스토리보드 작가 혹은 스토리보더는
분야별로 다른 의미로 쓰입니다.
평면의 만화/웹툰의 콘티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영상(영화, 광고, 애니메이션 등)용은 콘티
혹은 스토리보드란 용어를 혼용합니다. 굳이 쓰려면 장르를 표기하는게 정확한 형태과
작업결과물을 구별해 이해할 수 있겠죠. 만화/웹툰용 콘티와 영화/애니메이션 스토리보드
(콘티) 작업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