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토반수할 때의 장지는 어떤 상태인가요?
아교반수한 상태에서?/첨 장지상태?/호분반수상태?...어떤 상태 위에 황토반수를 얹는지 알고싶어요...
--------------------------------[답변내용]--------------------------------
viva님 반가워요^^
어떤이유로 무엇이 잘안돼서 이 질문이 된건지, 질문의도를 좀더 알려주시면 좋겠는데,,
우선 1.아교반수 2. 호분칠 밑작업을 하는 이유는
장지에 처음부터 분채를 칠하게되면 장지가 계속해서 흡수하기때문에
어느정도 코팅? 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보면되요
내가 원하는 색이 보다 빠르게 나기도하고 종이가 튼튼해질수 있는 효과가 나요
아교반수 마르고 십자로(+) 3번정도 칠하게되면
처음 장지와 비교했을때 섬유질? 종이가 코팅이 되겠죠.
1)아교, 풀 성질을 종이에 먹이는 효과도 생겨서 그 이후 분채를 여러번 칠해도
붙채가 떨어져 나가지 않게 도와줘요
2)맨종이에 손으로만 마찰해도 장지가 일어날수 있는데
코팅이 되니까 튼튼해지기도 하죠
▶종이 상태는 처음 장지보다 뺀질, 미끈?? 그런 느낌이에요
호분칠
서양화에서의 젯소역할??
호분칠을 하면 아교반수보다 조금더 두께감이 생깁니다.
하얀 물감을 칠하게되니까
이것또한 3~4번정도 교차로 칠해주면 되구요
효과는 종이가 튼튼해지기도하지만
내가 원하는 색을 보다 빠르게 낼수 있어요
황토칠을
좀더 깊이있는 색을 내기 위해 다른색 이전에 칠하는 거구요
종이의 상태를 말씀드리지면
처음 장지보다 조금씩 코팅이 되어진 상태가 되겠죠
궁금증이 풀리셨는지 궁금하네요^^
혹시 진도가 어느정도 나갔는지,, 밑작업을 해보기전에 두려워 질문을 하신거라면
일단 작품하나를 완성해보시구요.
이 밑작업을 해봤는데
어떤게 잘 안된다거나
저와 비교했을때 어떤게 좀 다른것 같다거나
튜터링때 사진과 첨부해주시면 좀더 원하는 답변을 해드릴수 있을것 같습니다.
중급에서의 밑작업은 그 어느 기술만큼이나 중요하기때문에
경험하지 않고 미리 알수는 없답니다.
밑작업의 감을 익힐때까지는 실패도 해봐야하고
작품을 완성하면서 아교농도나 기타 다른것들을 터득하실 수 있습니다.
(제가 수업하면서 농도나 다른것들을 설명해 드리지만 저와 다르게 할수도 있습니다
작품과정사진이나 완성사진을 보여주시면 결과물을 통해
이번 그림은 아교가 진했는지 분채농도가 흐렸는지 진했는지 피드백 해드릴수 있을것 같습니다)
멋진 작품 완성하시고
또다른 느낌 같이 나눠요^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