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생님, 오늘은 그동안 궁금했던 점들에 대해서 이것저것 생각해보고 적습니다. 여전히 질문이 많네요 ㅠ-..!
1. 선생님의 디지털 작업 환경은 어떠하신지 궁금합니다.
컴퓨터는 어떤 사양이고
모니터는 듀얼을 쓰시는지
신티크를 쓰시는지
판타블렛을 쓰시는지
A3이상 사이즈의 스캐너와 레이저 프린터를 구비하고 계시는지...
등등.. 입니다.
되도록 자세하게 구비하고 계신 디지털 장비를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ㅅ;?브랜드나 사양까지 알려주시면..더 참고가 될듯합니다ㅠ
프로의 장비라는 것에 대해서 한 번도 경험해본적이 없어서요; - ; 판타블렛이야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뭔가..많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요즘이네요 ㅠ
2. 아직도 고민인 디지털과 수작업 병행
수작업을 놓은지 너무 오래되서 겁이 나는데..수작업 하라고 하면 잉크 쏟는 거 부터 기억이 납니다 ㅠ.
그런데 아직도 수작업도 하고 디지털 하시는 분도 많으시더라구요
본인의 자유이지만 수작업도 익혀놓으면 좋은 걸까요?
아니면 과감히 디지털로만 연습하는 게 좋을까요?
저는 러프는 수작업으로 하고 펜터치부터 들어가려고 했는데...ㅠ. 혹시 수작업 펜터치도 써먹게 될까봐 고민입니다.
이런 걸 '쓸데없는 고민을 만들어서 한다'라고 하나요 ㅠ .ㅠ 디지털에만 익숙해져버린 세대의 불안감일까요 ㅠ
프로 만화가님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 ;수작업!!!...
3.톤을 스캔해서 쓸 때 해상도는 얼마로 해야할까요? 클립스튜디오로는 만족스럽지가 못해서;ㅅ;..
톤을 아날로그 를 사서 스캔하려고 하는데 그레이스케일로 스캔하면 될까요;ㅁ;? 해상도는 상관없을까요? ㅠ
스캔해서 multiply로 쓰면 되는 걸까요;ㅁ;? 스캔하면 뒤에 흰색도 비쳐보이니까요 ;ㅁ;
4.예전에 클립스튜디오에서 톤 작업을 할때 톤을 연하게 보이게 하려고 톤의 '농도'만 조절하는 것은 인쇄시에는 아무 소용없고
원래 농도로 나온다고 하셨는데
그럼 multiply같은 것으로 톤을 올릴시에 더 진하게 되는 현상도 인쇄시에는 소용이 없는 건가요;ㅅ;?
톤 레이어는 무조건 노멀 레이어로만 작업하는 게 정석인지요? ; - ;
5. 붓펜느낌 대신으로 연필 브러쉬를 쓰면 인쇄가 안 된다고 하셨는데 ㅠ 강의내용에서는 클립스튜디오의 연필 브러쉬를 쓰시더라구요;ㅂ;
그건 인쇄를 고려하지 않으신 건가요?
6.그리고 명도 50퍼센트 이하는 인쇄가 안 된다고 하셨는데
클립스튜디오의 점톤 중에서도 아주 연한 것들은 명도가 50이 안 되어 보이는데요; - ;
그럼 그것도 인쇄가 안 되는 건가요? ㅠ
7.(첨부파일 참고) 첨부한 파일의 만화책 장면을 보시면.. 꼭 톤이 아니라 색깔이 촘촘해서 회색 페인트로 칠한 것 같은데
이(것도 톤으로 작업한 건가요? 그라데이션도 자연스러워서 톤이 아닌 것 같습니다 ㅠ.ㅠ...
8.만화를 그릴때 컷 모양이 다양하게 잘 안 됩니다; - ;..한 페이지내의 컷 구성이라고 할까요...
설명이 잘 안 되는 같은데 예전에 제가 그린 수인만화를 보신 기억이 있으시다면; - ;..
컷 구성이 페이지마다 비슷비슷합니다 ㅠ 최근에는 좀 더 다양하게 써보려고 노력하는데
각 페이지의 컷이 빵빵 멋지게 터지면 좋을텐데 ㅠ 그게 잘 안 되네요 ㅠ..
전에 쓰던 그 모앙이 편하지~라면서 어느새 원래 자주 쓰던 컷 모양으로 돌아가버리고 ..
페이지 내의 컷 모양이 각 페이지마다 달라야 좋은 게 아닌가요? 넘길때마다 다양한 컷 모양..
액션만화가 아니라도... 컷이 페이지마다 달라야 더 재미있어 보이는게 아닌지요..
9.8번의 고민과 더불어..컷 연출이나 화면 연출이 좋은 만화 추천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시티헌터 ' 연출이 좋다고 해서 보긴 했는데 확실히 좋긴 한데 조금 예전 것이라 그런지 컷이 너무 빽빽하게 들어차있다?라는 느낌이었습니다 ㅠㅠ
선생님께서 참고하시거나 영향받으셨던 만화..베스트 5 이런 것도 좋습니다 ㅠ
10.액션이 강한 만화..싸움씬 많은 만화..이런 것도 좋고 (검씬은 무한의 주인같은 일본만화가 있으니 제외하고..)
. 치고 박는 조폭류..한국만화나 추천가능하실까요?
질문이 이것저것 뒤죽박죽인데 ㅠㅠ..죄송합니다 생각나는대로 정리해보느라..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