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생님^.
오늘은 클립스튜디오로 배경을 트레이스하는 것을 시도해보았습니다.
아래는 질문입니다. 궁금한 게 너무 많아서 큰일입니다 ㅇ<-<늘 답변 감사드립니다 ㅠㅠ
0.
전 흑백만화를 지향하는 지망생인데요.. ㅠㅠ ...저는 웹툰보다 출판만화인 흑백을 사랑하거든요 ㅠㅠ
요즘에는 흑백만화도 전부 클립으로 배경을 하는게 보통이지요? ;- ;프로만화가 분들의 경우를 여쭤보는 거랍니다.
그리고 혹시 선생님께서는 스케치업도 흑백만화에 사용하시나요?
웹툰에서 쓰는 것으로 아는데 흑백만화를 클립으로 그린다면 프로이신 선생님께서는 출판만화도
스케치업이나 3d를 응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1.배경그릴때 자를 사용해서 펜으로 그으시는지 아니면 직선툴로 쓰시는지 궁금합니다
2.의자를 그릴때 곡선과 직선이 합쳐진 연결부가 있습니다.
그걸 그리려니 직선툴으로 그리다가 곡선툴로 따로 그리니까 연결이 자연스럽지 않고 뚝뚝 끊기는데요 ㅠ
이건 그냥 이렇게 따로 그리는 수 밖에 없나요?
3.먹칠할 때 선을 두르고 채워넣기하는 방식으로 하고 있는데 어떤 펜을 사용하시나요?
4.세밀한 곳을 채울때 어떤 도구를 사용하시나요?
의자보시면 얇게 들어가는 그림자가 있는데 마술봉으로 선택범위가 잘 찍혀서 G펜으로 일일이 그려넣었습니다 ㅠㅠ
5.먹칠레이어는 따로 만들어서 관리하는 것이 더 나은 방법인가요?
6.원본사진(원본사진은 첨부파일의 레이어 하단부에 있습니다..ㅠ)은 책상이 많은데 처음에는 이걸 하나만 그려서 트랜스폼으로 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트랜스폼해도 사진처럼 투시가 잘 적용이 안됩니다.
그래서 결국 트랜스폼하는 시간이 더 걸려서 일일이 그냥 그렸는데요 ㅠ
선생님은 이런 걸 그리신다면 트랜스폼하시는 건가요?
7.배경부분을 그리실 때 안 보이는 배경부분까지 스케치하시는가요?
네 안녕하세요 양쌤입니다.
이번엔 배경 트레이스 군요.
랄랄라~~ 지겹고 재미없는 배경이다~~
말 그대로 입니다. 배경 따위...누가 그려줬음 좋겠어용....
하기 넘나 귀찮은것.. 투덜투덜..
그래도 좋은 작품을 위해선 꼭 필요하니 어쩔 수 없이 책임감을 갖고 해야겠죠..
(이번 원고에 도서관을 배경으로 잡은 저의 바보같음으로 인해 이러는거 아닙니다.)
자 질문에 답해 봅시다~
영번:
매우 다양한 만화가분들께서 뭘 딱 하나 찝어서 쓴다고 말씀 못드리겠습니다.
질문 내용에 있듯이 프로 작가 분들의 배경 작업엔 사진 트레이스. 상상으로 그리기.
스케치업. 수작업. 기타 3D마야 등등을 이용해서 자신의 스타일로 배경을 그리고 만들기에
뭘 써야만 한다! 라고 말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제 경우라면 클립을 이용하며 대개 사진 트레이스와 제가 직접 간단하게 그리는 배경을 씁니다.
스케치업은 과거에 좀 써봤으나 그림같지 않고 너무 밋밋한 느낌이라 쓰다 버렸습니다.
1번:
매우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작업을 해야 할땐 자를 이용합니다. 이럴 때가 아닌 간단하게
한 두 줄 정도만 직선이 필요하다 싶을때만 직선툴을 써서 마무리 짓고요.
(엿장수 맘대로...)
2번:
사실 클립의 곡선툴이 포토샵의 패스 기능에 비해 빈약한 것이 사실입니다.
조절이 좀 힘들거든요. 포토샵에 비해 다양하게 구색을 갖추려 하다보니 이를 좀더 확장성 넓게
만들지 못하고 좀 어딘가 엉성한데 전 곡선을 굳이 써야 하는 부분이 아닌 경우엔 대개 손으로 해버립니다.
그 편이 훠~~~~얼씬 빠르게 정리되기 때문입니다.
3/4번:
먹칠을 해야 하는 부분은 두 경우로 나눕니다.
비교적 넓은 공간을 채워야 할때와 아주 협소한 곳.
넓은 공간의 경우 페인트 버킷툴로 채워 넣고
협소한 공간은 그냥 펜으로 빠르게 문질러 채워버립니다.
(먹칠도 상당히 손이 많이 가는 부분이죠.)
5번:
초보분들의 경우는 레이어를 따로 관리 하는 것도 일종의 방법입니다.
이유는 원고를 진행하다보면 먹보다 조금은 가벼운 스크린 톤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나을때가
있다 싶을 때 이를 펜 레이어와 같이 써버렸을 때 복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분리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6번:
하나의 책상을 그려서 트랜스폼을 이용하는 것은 애초에 불가능한 방법입니다.
매우 세세한 부분까지 트랜스 폼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일률적인 수치로만 계산되어 트랜스폼이
적용되기에 적용이 되지 않는답니다.
네 전 모든 부분을 그려서 활용하며 트랜스폼은 쓰지 않습니다.
7번:
컷밖으로 나가는 것을 제외하곤 인물이나 말컷에 가리는 부분까지는 전부 그려냅니다.
언젠가 다른 컷에서 또 써먹을 가치가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기 때문에 하나를 그려두면 후에
또 활용이 가능한 자료로서 씁니다.
배경이 은근히 많은 만화가들에게 골치인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주인공들의 활약에 있어서 불가피하게 필수로 필요한 공간인 만큼
멋진 배경을 그려낼 수 있도록 꾸준히 연습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