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분예서는 왜 팔분이라고 부르나요???
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초급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31
3. 질문 내용
:팔분예서는 왜 팔분이라고 부르나요???
팔분예서에서 한글은 원필과 방필이 섞인 건가요/ 아니면 원필 위주인건가요?
파일이 어디에 있는 건가요? 강의노트에 올라가는 건가요??
예서는 ‘고예(古隸’)와 ‘팔분(八分)’으로 구분합니다.
1.고예는
전서의 기미를 포함하나
옆으로 긋는 획의 종필을 오른쪽으로 흐르게 뻗어 쓰는 파책(波磔) 필법이 없고,
소박하고 실용적인 서체인 반면
( 대표적으로 광개토대왕비)
2.
‘팔분(八分)’서체는 ,
전서의 기미를 포함하고, 옆으로 긋는 획의 종필을 오른쪽으로 흐르게 뻗어 쓰는 파책이 분명한 서체를 말한다.
팔분은 장식적이며 의례적인 성격을 띤다.
( 조전비, 사신비, 장천비 등등)
3.
팔분의 명칭에는 여러 기원설이 있다.
(1)
‘팔자분배설(八字分背說)’로, 낱글자의 형태가 ‘八’ 자와 같이 좌우로 등지는 형상에서 발생하였다는 설이다.
(2)
예서의 필법이 8푼, 전서의 필법이 2푼 정도의 서체라는 점에 착안하여 ‘팔분’으로 명명하였다는 설이다.
(3)
팔분을 처음 만들었다고 전하는 진나라의 왕차중(王次仲)이 처음 글자를 만들 때 그 크기가 8푼이었다는 설이 있다.
# 참고로,
예서의 명칭은
진나라의 정막(程邈)이란 사람이 죄를 짓고 운양(雲陽)의 옥사(獄舍)에서 10년의 고사(苦思) 끝에 3,000자를 만들어 시황제에게 진상함으로써 나온 것으로 전해지는 설이 널리 분포되어 인식되어진다.
첨고로
광개토왕비와 조전비 사진도 올려 드립니다.
이상 혜원강애희 답변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