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새로 수강은 시작한 새내기입니다
강의 잘 듣고 있는데요~
한가지 도안을 보면서 궁금한점이 있어요
바탕의 여백이나 그림여백을 꾸며주는 부분에 달팽이모양의 선을 많이 사용하여 그림을 그려주는게 많은데
혹시 달팽이처럼 꼬이는 모양이 심리학적인 특징이나. 혹은 치유의 기법으로 그런 모양을 선택하여 그림작업을
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회오리나 달팽이모양의 그림을 무의식적으로 많이 그리는 아이들의 정서적인 특성이 있는지도 궁금해지네요^^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컬러링 아트테라피 홍우희입니다.
우선 답변에 있어서 먼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표현되어지는 부분에 대한 상징적 해석은
A = B 이다라고 접근하시는 방법은 내담자의 마음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방해적 요소가 될 수 있음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보편적 시각에서 바라보는 상징적 의미 해석이 모든 내담자에게
적용이 되는 사항이라고 말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나선형의 상징적 의미 해석부분에 대해서 알려드리는 내용은 일반적인 상징적 의미라는 것을 염두하시고
내담자의 그림을 단편적으로 의미 해석을 하기보다는 내담자에게 그림 내용에 관한 질문을 통하여
표현한 의도나 의미를 파악하시면서 일반적인 상징적 의미를 함께 살펴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나선형 표현의 상징적 의미 해석은 자연의 현상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태로 회오리바람, 덩굴식물, 달팽이, 소라, 모랫바람, 눈바람, 밀물과 썰물의 규칙적 운동 등
나선형은 형태 자체에서 끊임없이 펼쳐진 형상과 감기는 형상이 공존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나선형은 개방성과 역동성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깊이와 내적 집중을 유지하고 있다.
한 형태 안에 외향성과 내향성을 동시에 공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