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Šœํ„ฐ๋ง

๊ธ€์“ด์ด : ๋ชฝํ™˜์˜๊ด‘๋Œ€
๋“ฑ๋ก์ผ : 2015-05-19
๋ชฉ๋ก์œผ๋กœ
2์ฃผ์ฐจ 3๊ฐ•, ๋ชธ์˜ ๊ธฐ๋ณธ๊ธฐ1: ์ •์œก๋ฉด์ฒด-ํ•˜์ง€๋งŒ ์ง์‚ฌ๊ฐํ˜•์ด ๋˜์–ด๋ฒ„๋ ธ์Šต๋‹ˆ๋‹ค.

 

 

제가 사는 거제도는 아침 내내 비가 많이 내린 후, 늦은 저녁이 되어서야 겨우 그쳤습니다. 선생님이 계신 곳은 어떤가요? 유독 월요일만 되면 비가 잦네요.

 

오늘은 정육면체를 그려 보았습니다. 하지만 말이 정육면체지, 스케치북을 세운 후 멀리서 보니까 윗면이 기다란 직육면체가 떡 있네요. ㅎㅎ 형태가 많이 맘에 들지 않아서 두 번, 세 번 뜯어 고친 후의 결과물입니다. 그릴 때는 열심히 그려서 잘 모르다가 다 그리고 나서 멀리서 지켜보면.. 원하는 결과가 아님을 늘 보게 됩니다. 다 나아가는 과정이겠죠.. ㅎㅎ

 

그림자 잡는 과정에서 연필 쥐듯이 색칠하고픈 충동이 마구마구 들었습니다. 팔이 너무 아파서요. ㅎㅎ 이런 고통을 참으며 하는 것도 즐거운 경험이지만요.

 

두 번째 그릴 때는 좀 더 선생님의 그림과 닮아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질문입니다. 처음 스케치를 하면서 '소실점'을 말씀해셨습니다. 저는 이 소실점을 어렴풋하게 알고 있었습니다. 그동안 공책에 그냥 막 그리다보니까 소실점은....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선지 그간 결과물을 지금 보면.. ㅋㅋ... 소위 말하는 '인삐' 투성이네요.

 

소실점이란 게 물체를 이루는 가상선이 모이는 지점 같은 건가요? 소실점을 잡기가 그렇게 쉽지가 않네요.그래서 오늘은 이걸 여쭈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