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특강

목록으로
카키색(Khaki) 제대로 알기

 




[도약아트 특강]



물감시리즈07
카키색(Khaki) 제대로 알기
: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카키색! 제대로 알고 쓰자


안녕하세요. 도약아트입니다. 여러분은 '카키색' 하면 어떤 색이 떠오르시나요? 보통 카키색 하면 카키색 야상, 카키색 바지 등 의복을 떠올리며 진한 녹색 계열의 색을 생각하게 됩니다. 하지만, 과연 여러분이 알고 있는 카키색이 그 카키색일까요?




자, 위에 두 가지 색상이 있습니다. 밀리터리 룩[Military Look]에 많이 쓰이는 색들이죠. 1번과 2번 색 중에 과연 카키색은 어떤 색일까요? 흔히들 1번의 진한 녹색 계열, 올리브 그린[Olive Green]색상을 카키색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진짜 카키색은 2번의 진한 황갈색이라는 사실!





따라서, 위의 군인이 입은 군복 색상도 카키색이 아닙니다. 올리브 드랩[Olive Drab: O.D] 혹은 국방색[國防色]이라고 불러야 맞습니다. 그럼 카키색은 어떤 색이며 어디에서 유래된 걸까요?






카키는 페르시아어로 흙먼지의 뜻인 'khak'에서 파생된 힌두어 'khaki'에서 유래했습니다. 말 그대로 흙, 또는 흙먼지의 색인 탁한 황갈색을 뜻하는 명칭입니다. 이 카키색이 유명해진 이유는 19세기 중반 영국이 인도를 점령했을 당시, 군복의 색으로 널리 쓰였기 때문이라고 해요. 흙먼지가 풀풀 날리는 반건조 지형에서는 황갈색 군복이 더 높은 생존율을 보장했다는 것이 경험으로 증명되었던 거죠.








이후 영국이 전쟁을 많이 하다 보니(^^;;;) 다른 나라의 군대도 카키색 군복의 유용성을 깨닫고 도입하기 시작해서 결국 전 세계적인 머스트 해브 아이템으로 자리하게 되었답니다.







지금까지 카키색의 역사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는데요. 그런데 왜! 우리는 진한 녹색을 카키색으로 부르게 되었을까요? 여기서 잠깐 국어사진에서 국방색을 찾아보죠.




 국방색 : [명사] 육군의 군복 빛깔과 같은 카키색이나 어두운 녹갈색.


헐... 국어사전에는 상당히 애매하게 두 가지 색 모두 기재가 되어있네요. 그 이유는 원래 우리나라 최초의 군복 역시 카키색이었기 때문입니다. 다음 링크를 보시죠.





위의 링크를 보시면 독립군이나 광복군, 국군경비대의 군복이 카키색 계열인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이 당시는 '군복 = 카키색 = 국방색' 이라는 등식이 성립하게 됩니다.

시간이 흘러 우리나라 군복의 색은 한반도의 울창한 산림환경 또는 새롭게 바뀐 미군의 군복 색깔에 맞춰 진한 녹색으로 변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원래 특정한 색을 나타내던 단어가 아니었던 국방색은 여전히 군복을 나타내는 색깔이었죠. 따라서 '군복 = 진녹색 = 국방색 = 카키색' 이라는 이상한 공식이 태어나게 된 것입니다.







지금까지 카키색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본래 카키색은 염색되지 않거나 누렇게 변색된 인도의 군복에서 탄생한 전혀 고급지지 않은 색이었습니다. 하지만 우연한 기회에 그 유용성을 깨닫게 된 사람들이 의해 널리 사용되었답니다. 다만, 지금은 다른 색에 이름을 내어주는 안습한 상황을 맞이하고 있죠. 여러분은 더 이상 헷갈려 하지 마시고, 카키색 하면 황갈색! 이라는 것을 알고 계셨으면 좋겠습니다. :D 그럼 다음 특강 시간 때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대한민국 미술 인터넷 강의 1위, 도약아트